본문 바로가기

물생활 탐구/물고기 질병 탐구

열대어 기생충 닻벌레 퇴치방법!

728x90
반응형
닻벌레 퇴치방법 썸네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담수어와 해수어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기생충의 한 종류인 '닻벌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닻벌레는 앵커 웜 이라고도 불리며 긴 몸통에 여러갈래의 머리가 닻의 형태로 되어있어 물고기에 몸통에 붙어서 기생하는 생물입니다. 사실 기생충이 아닌 기생 갑각류의 한 종이며 어항 내에서 꽤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으며 성체 암컷만 물고기의 몸에 붙어서 기생하며 살아갑니다. 즉, 우리가 눈으로 보는 닻벌레는 성체암컷만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물고기에 몸에 붙어서 출혈을 일으키며 그 자체가 문제가 되기보단 상처부위로 감염을 유도하거나 궤양이 생기고 아가미에 붙어 호흡곤란 증세를 보일 수 있기때문에 보이는 즉시 제거해주는 게 좋습니다.

닻벌레(출처 : wikiwand)

닻벌레의 생활사

닻벌레는 암컷 성충이 물에서 살아가다가 수컷과 만나 수정을 하고 수컷은 죽어버립니다. 그리고 암컷은 머리가 자라나 돌기가 생기며 닻과 같은 형태가 되고 물고기의 표피에 붙게 되면서 몸이 길어지고 다리가 없어지면 배에 털이 자라나게 됩니다. 그렇게 기생생활을 하며 여러번의 산란을 하게 되는데 25℃이상의 온도에서 최대 16주동안 약 2주마다 최대 250마리의 알을 낳으며 알은 약24~36시간 이내에 부화하게 됩니다. 물속에서 태어난 유충들은 마치 물벼룩과 같은 형태로 물속에서 살아가다가 다시 수정을하고 암컷은 물고기의 몸에 붙어서 살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중간숙주가 필요없이 물고기에 기생하게 되며 오히려 물고기에서 물고기로 옮겨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활사를 반복하며 살아가는 생물이며 숙주인 물고기의 표피에서 약 30일동안 살아갈 수 있습니다.

닻벌레의 생활사(출처 : UF/IFAS Tropical Aquaculture Laboratory )

닻벌레의 치료방법

닻벌레는 물고기의 몸에서 30일동안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매우 오랜시간동안 치료가 지속되어야 합니다. 한 두번의 약욕으로 제거되기 힘들며 물고기의 몸에서 발견되는 순간 이미 수정이 끝난 상태의 암컷이므로 유충까지 구제해야 합니다.
먼저 눈에 보이는 닻벌레를 직접 물고기의 몸에서 떼어내주는 작업을 통해 어느정도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핀셋을 이용하여 닻벌레를 제거해주면 되는데 이 때 닻벌레의 몸통만 떨어져나가고 머리부분이 남아있으면 계속 상처가 유지되므로 닻벌레의 몸 전체가 떨어져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상처부위의 2차감염을 예방하기위해 항생제욕을 실시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물에 있을 유충과 안보이는 곳(아가미, 입안)에 기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약욕을 병행해서 실시해야 합니다.
약욕은 기생충제거에 탁월한 '마소텐'이나 '포르말린'을 통해 약욕과 환수를 반복하여 실행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며 시중에서 구하기 쉬운 약품으로는 '메디슨O'를 통해 약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일단 닻벌레의 개체수가 많지 않다면 핀셋으로 닻벌레를 직접 제거해주고 'OTC'를 통해 항생제 약욕을 해준 뒤 상황을 지켜보면서 '마소텐'이나 '포르말린'약욕을 실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생충제거약은 독성이 강하고 물고기에게도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오랜기간 치료해야 하는 닻벌레의 특성상 물고기가 먼저 약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항생제욕을 해준다면 닻벌레 자체의 위험성은 적기 때문에 약욕은 추후에 상황을 지켜보면서 신중하게 실시할 것을 당부 드립니다.

여러마리의 닻벌레가 기생중인 잉어, 잉어에게서 떼어낸 닻벌레(출처 : UF/IFAS Tropical Aquaculture Laboratory )



오늘은 어항내에서 민물고기에게 기생하는 닻벌레에 대해서 알아 보았는데요. 닻벌레는 한번 생기면 꽤 오랜기간 신경을 써줘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유입을 막는게 중요하며 물고기를 새로 들일 때 검역을 실시하고 물고기에게 기생충이 붙어있는 잘 살펴보고 투입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닻벌레는 사육자의 관심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